지난 7월 29일 유튜브 채널 ‘하이브 라벨스’에서는 르 세라핌이 출연하는 5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공개했다.
해당 다큐멘터리에서 멤버 홍은채는 “라는 질문을 받았다.당신 자신은 어떤가요?“라고 그녀는 대답했다. “난 잘 모르겠어.”
그녀는 “라고 고백했다.요즘은 팬도 많아지고 예전에 비해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어서 더 솔직하게 말하고 더 많이 받아들이고 있어요..”
홍은채는 이어 “그런데 대중이 좋아하는 이미지나 행동이 있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그 기준에 맞추려고 노력하고, 그 기준에 저를 비교하곤 해요. 그런 기준에 지금의 내 모습을 계속 비교하게 된다. 그 기준에 계속 주목하고 있어.”
그녀 역시 우려를 표했다”고 말했다.관심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나는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 지금은 좋은데 나중에 많은 분들이 르세라핌을 알게 된다면 그때의 기분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부담감도 커지고, 관심과 함께 부정적인 반응도 더 많아질 것 같아요.“
허윤진은 곡 작업을 하던 중 눈물을 흘렸다. 그녀는 프로듀서 겸 하이브(HYBE) 회장 방시혁에게 마음을 털어놨다.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생각한다..”
방시혁이 “라고 묻자다른 사람들? WHO?“라고 답한 허윤진은 “이 업계의 대중과 기타 사람들.“
허윤진은 제작진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이것을 어떻게 말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선이 있는 것 같아요. 우리가 사랑받고 싶다면 꼭 지켜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런데 르세라핌을 하면서는 그런 생각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방시혁에게도 “데뷔 티저에서 ‘아이돌 업계를 바꾸고 싶다’, ‘변화를 만들고 싶다’고 했는데… 그러면 사람들이 ‘그래서 뭘 바꿨냐’, ‘어떻게 만들 거야’ 이런 말을 하더군요. 혼자서 바꾸나요?’ 처음에는 별 신경을 안 썼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내가 한 말에 책임감이 더 커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내가 충분히 하고 있는 건지 의문이 듭니다.“
방시혁은 “라고 조언했다.지금 그런 생각을 하고 계시다면 회사나 대중이 어떻게 생각하실지는 생각하지 말고 그냥 글을 시작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물었을 때언제 자신이 가장 기분이 좋나요?“, 허윤진은 “라고 말하며 열정을 드러냈다.작곡을 할 때, 가사를 쓸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음악으로 만들어 듣는 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내가 전하는 메시지를 통해 세상은 더 나은 곳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것… 저는 그것이 저로서는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쿠라도 눈물을 흘리며 심경을 토로했다.나는 더 잘하고 싶었습니다. 내가 잘하지 못하면 기존의 팬들을 잃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때는 팬들과 함께 영화관에서 컴백쇼를 봤다. 우리가 그것을 보면서 나는 그들의 반응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연습할 때 잘했던 부분을 잘 못해서 제 자신에게 실망했어요.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그 방송을 보면서 속상하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했어요. 무엇보다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팬들 앞에 서서 울고 싶어도 웃어야 하는 게 너무 힘들었어요..”
사쿠라도 노래 연습 중에 무너졌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사람들 앞에서 노래하는 게 무서워요. 나는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고 싶다. 노래하는 게 너무 무서워요.“
이어 그녀는 “내가 왜 아이돌을 선택했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왜요? 왜냐보다는… 그렇게 말하면 팬들이 서운해하실 것 같아서요. 아이돌이 잘못된 선택이었다는 건 아니지만, ‘아이돌이 정말 나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인가?’라는 뜻이다. 뭔가 잘못하고, 실수하고, 내 한계가 어디인지 깨달을 때마다 ‘아이돌을 할 필요는 없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나보다 잘하는 사람들이 아이돌이 될 수도 있었어.’“
사쿠라는 “다른 사람들처럼 나도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목표다. 데뷔했을 때 열심히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계속 바쁘게 지내다 보니 목표를 잃어버린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내가 꿈꾸던 행복이 진짜 행복인지는 모르겠어.”
김채원은 “내 또래의 다른 사람들의 삶은 어떤지 궁금하고, 그렇게 살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다. 또, 그렇게 즐겁게 노는 모습을 보면 ‘나도 저렇게 청춘을 즐기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항상 그것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 분들도 우리의 삶에 대해 궁금해하실 것 같아요. 우리를 보면서 ‘그들처럼 살면 어떨까?’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분명 계실 텐데요. 그래서 우리는 다 똑같다고 생각했어요. 우리 각자에겐 각자의 어려움이 있어요.”
그녀는 계속해서 “몸이 좋지 않을 때도 카메라 앞에 서야 하고, 겉으로 드러내서는 안 된다. 이 직업이 그런 것 같아요. 그런데 그때는 쉽지 않다는 걸 느꼈어요… 그렇군요… 정말 좋을 것 같아요. 힘들 때 힘들다고 불평하고 말할 수도 있는 것처럼요. 그런데 힘들다고 말하면 나약한 사람이 되는 것 같아서… 돈을 위해서든, 사랑을 위해서든, 아니면 야망을 위해서라면 왜 그렇게 열심히 일하는지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제가 되고 싶은 이미지가 있어서 야심차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나는 사랑받는 것을 좋아하고 그 사랑을 계속 받고 싶다..”
이어 김채원은 “눈물을 흘렸다.큰 목표에 집중하기보다는 행복해지는 법을 모르겠어요.“그녀는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때로는 지치고, 그만두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순간도 있습니다. 계속 ‘지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가끔은 잘 안 되고, 너무 피곤해서 부담스러울 때도 있어요. 다음 앨범을 준비하면서 그걸 이겨낼 수 있을지, 지난 앨범만큼 성공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그러자 그녀는 담담하게 이렇게 말했습니다.방금 인터뷰에서 얘기했던 고민들을 돌이켜보면 그냥 웃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이런 고민이 있었다’, ‘그 고민을 음악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