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콘텐츠 리뷰 사이트 도우반(Douban)에는 이미 ‘엑슈마’에 대한 리뷰 페이지가 생성돼 현재 650개 이상의 리뷰가 게시됐다.
서 교수는 “중국에서는 한국어 콘텐츠 불법 유통이 일상화됐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것은 그것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는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X(구 트위터), 웨이보 등 SNS 계정을 통해 근거 없는 비난을 퍼붓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지적재산권 보호와 올림픽 마스코트 빙둔(Bing Dwen) 불법 유통 방지를 위해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엄중 단속한 사례를 들어 “이제 중국 당국이 개입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이렇게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그동안 고의로 한국 콘텐츠를 훔쳐 보는 것을 눈감아 주었습니다.”
그는 또 강조했다. “중국 당국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합니다.”
서 교수는 덧붙였다.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우선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