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6회 만에 시청률 14.1%를 기록하며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한국갤럽이 실시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방송 영상 프로그램’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로써 박지은 작가와 김수현이 9년 만에 재회하게 됐다. 앞서 이들은 ‘별에서 온 그대’, ‘프로듀사’로 큰 성공을 거뒀다. 이번 협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3연속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눈물의 여왕’은 퀸즈그룹 재벌 3세 상속녀 홍해인(김지원)과 아들 백현우(김수현)의 아찔한 위기와 기적적인 사랑의 불씨를 그린다. 용두리 농민들의 결혼 3년차. 백현우 역시 서울대 출신 변호사지만, 재벌 입장에서는 평범한 일반인에 불과하다.
관습의 반전이 이야기의 인기 이유로 자주 인용됩니다. 이미 결혼한 부부로 시작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로맨스 드라마의 설정과는 상반된다. 결혼은 일반적으로 낭만적인 드라마의 끝을 의미하며 완전한 사랑의 성취를 상징합니다. 반면 <눈물의 여왕>에서는 부부가 힘든 시기를 겪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남자 주인공의 소원은 이혼이고, 부부간의 불화와 이혼이라는 키워드로 출발하는 한국 로맨스 드라마는 이례적이다.
게다가 두 주인공의 역할도 뒤바뀐다. 일반적으로 남자 주인공은 백마를 탄 왕자의 모습으로 등장하고, 여자 주인공은 가난하거나 평범한 집안 출신이다. 하지만 여기서 남자주인공은 앞서 말했듯이 평범한 남자다. 관습에서 벗어나 키스를 시작하는 사람은 바로 여성입니다. 게다가 키스를 기대하며 얼굴이 가까워지면 여자주인공이 눈을 감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남자주인공이 눈을 감는다.
“와 같은 표현난 절대 널 울리지 않을 거야”라는 말을 주로 남자주인공이 하는데 여기서는 여자주인공이 한다. 파트너를 만나기 위해 헬리콥터를 타고 날아가는 것조차 남자주인공이 아닌 여자주인공이 주도한다. 전통극에서 여자주인공은 시댁 식구들의 손에 고통을 겪는다. 반면, 여기서는 시댁에 대해 긴장감을 느끼는 남자주인공이다.
핵심 요소를 고수하면서도 이러한 관습을 뒤집음으로써 드라마는 신선하면서도 친숙한 서사 구조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것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이런 섬세한 균형을 잘 맞추는 박지은 작가가 전작에 이어 또 한 번 국제적 신드롬을 일으킬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린다.